Linux & Unix2016. 3. 5. 01:36

 

 

필자의 경우는 VMware 9 환경에서 우분투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가상 OS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설치하는 과정의 차이는 크게 다르지않기

때문에 다른 환경에서도 비슷한 과정으로 설치 하시면 되겠습니다.

  1. CD 또는 ISO 이미지를 통해서 부팅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은 가장
    먼저 보실 수 있으며,
    "Ubuntu installer naim menu"에서 보여지는 순서대로 진행 하면 되겠습니다.install_001
  2. 가장먼저 언어를 설정해 주어야 합니다.
    기본 환경은 보시는 것과 같이 영어로 설정이 되어있으며,
    아래 목록에서 보면 한국어도 지원 하고 있습니다.install_002
    언어를 한국어로 선택할 경우 번역이 완전하지 않을 수있다는 경고가 나타나지만
    우선은 한국어로 선택해서 설치를 진행 하겠습니다.install_003
  3. 다음으로 시간대 설정을 하는 부분이며,
    아시아 한국시간대를 설정해서 진행하면 되겠으며,
    해당하시는 국가에 따라서 해당 국가의 표준시를 적용 하시면 되겠습니다.install_004
    국가 선택화면은 해당하시는 국가를 선택하면 되겠습니다.
    install_005
  4. 언어에 따라서 로캘을 선택하도록 되어있는데
    앞에서 한국어를 선택 했기 때문에 기본으로 'ko_KR.UTF-8'이 설치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추가 설치 본을 선택 후 설치를 진행 하면 되겠습니다.
    install_006
    install_007
  5. 다음으로 키보드 선택을 해야하는데요
    한국어를 선택했기 때문에 키보드 언어 및 국가 선택등을 한국 키보드에 맞도록
    설정해 주면 되겠습니다.
    install_009install_010install_011install_012
  6. CD-Rom을 찾을 차례 입니다.
    저는 자동으로 찾기를 진행할 예정이며,
    하드웨어 구성환경에 따라서 이 과정을 조금 다른 화면이 보여 질 수도 있습니다.
    install_013install_014install_015
  7. 기본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과정이 진행이 됩니다.
    하지만 필자의 경우는 필요한 서비스만 올리고 필요한 프로그램을 수동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해당 과정에선느 설치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하지만, 목록을 보시고 운영 환경에 적합하도록 사전에 설치하시는 것도
    편리하게 설치 하실 수 있습니다.
    install_016install_017install_018
  8. 이제 네트워크 환경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필자의 경우는 NAT 환경 구성으로 DHCP 환경을 활용하기 때문에
    자동으로 할당 받아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도메인 명과 서버 이름을 설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차후에 변경도 가능 하지만,
    도메인명과 서버명을 정확하게 설정해 주시는게 차후 문제가 없을 듯 합니다.
    install_019install_020install_021install_022install_023install_024install_025
  9. 이제 사용자 계정을 설정할 부분입니다.
    서버는 운영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자를 설정하고
    root 사용자는 보안상 기본로그인을 제공하고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필자는 차후 업데이트 등 관리를 root계정을 통해서 진행하기 위해서
    root로 바로 로그인 가능 하도록 하고 일반사용자 계정을 만들지 않고 진행
    하겠습니다.
    운영용 서버에선느 root는 일반사용자 계정을 통해 로그인 한 후
    다시 로그인 하도록 설정 하는게 좋습니다.
    install_026install_027install_028install_029install_030install_031
  10. 다음으로 시간값 설정을 하는 부분이며
    서버의 경우 시간값이 정확하해 하기 때문에 NTP 서버를 통해서 동기화
    하도록 설정하겠습니다.
    별도의 시간동기화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면
    해당 서버를 설정하여 시간값을 동기화 할 수도 있습니다.
    install_032install_033install_034install_035install_036
  11. 이재 디스크 설정을 해줄 차례 입니다.
    필요에 따라서 볼륨 정보를 설정하고 용량을 비할당 하는 등
    용도에 맞게 설정하면 되겠지만.
    필자의 경우는 VM에서 설치하기 때문에 해당 용량을 자동으로 잡아서
    설치 하도록 하겠습니다.
    install_037install_038install_039install_040install_041install_042install_043install_044install_045
  12. 이제 시스템을 디스크에 설치하면 되겠습니다.
    또한 사용할 커널을 선택하고, 부트 영역등을 설정한 후 진행 하면 되겠습니다.
    install_046install_047install_048install_049
  13. 설치할 패키지 관리자를 통해 최초 설치할 패키지를 설치 하면 되겠습니다.
    이때 인터넷이 연결이 되어 있는 환경이다면 최신 업데이트를 반영 가능 하지만
    아닐경우 CD 또는 ISO 이미지에 있는 내용을 바탕으로 설치 하기 때문에
    차후 인터넷 연결을 한 이후 업데이틑 해주어야 합니다.
    install_050install_051install_052install_053install_054install_055install_056install_057install_058install_059install_060
  14. 이재 활용할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합니다.
    필자는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고 OS 설치가 완료된 이후
    별도로 설치를 진행하기 위해 그냥 진행 하도록 하겠습니다.
    install_061install_062install_063
  15. 이제 OS가 부팅하기 위해 필요한 부트로더를 설치해 주어야 겠죠?
    install_064install_065
  16. 이재 마지막 단계로 설치 마치기 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인터넷 시간 동기화를 다시한번 확인하고
    설정을 맞추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이 되어있지 않을 경우는 차후에 진행 하는
    것으로 하시면 되겠습니다.
    install_066install_067install_068install_069


이제 리눅스 서버에 로그인해서 활용하는 일만 남았네요 ^^*

 

 

Posted by IT초보아빠